티스토리 뷰

정보통신 및 로봇제어시스템

동기식 통신

시작이반입니다 2021. 7. 20. 07:00

동기식 통신

동기식은 일정의 클록에 동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방식입니다. ATmega128에서 동기식 모드가 사용될 때(UMSEL=1)에는 XCK핀이 동기 클록 입력(slave) 또는 동기 클록 출력(master)으로 동작합니다. 이 때 클록에지와 데이터 샘플링, 그리고 클록에지와 데이터 변화간의 상호의존 관계는 같습니다. RxD상의 데이터 입력은 TxD상의 데이터 출력이 바펄 때의 에지와 반대 에지에서 샘플링됩니다. UCRSC 레지스터의 UCPOL 비트는 어떤 XCK 클록에지가 데이터 샘플링에 사용되고 어떤 것이 데이터 변화에 사용되는지를 지정합니다. UCPOL=0이면 입력데 이터는 XCK의 상승에지에서 변화하고 하강에지에서 샘플됩니다. 그리고 UCPOL=1이면 입력데이터는 XCK의 하강에지에서 변화하고 상승에지에서 샘플링됩니다. USART의 동기식 모드는 동기식 통신 그 자체라기보다는 병렬 I/O포트 확장방법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이 모드에서는 단지 시프트 레지스터를 외부에 더함으로써 이것을 병렬 I/O포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동기식 모드의 1/0확장 기능을 이용하면 직렬포트를 마치 병렬포트처럼 사용할 수 있어서 병렬 1/0포트가 부족한 경우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동기클록은 다른 마이크로컨트롤러와는 달리 XCK을 통하여 송수신되고, 시프트레지스터로 가는 직렬 데이터는 TxD를 통하여 출력되고, 시프트레지스터로부터 들어오는 직렬 데이터는 RxD를 통하여 입력됩니다. 74HC165는 병렬-입력, 직렬-출력의 시프트레지스터이고, 74HC164는 직 럴-입력, 병렬-출력의 시프트레지스터입니다. 74HC165는 8비트 병렬데이터를 받아서 이것을 직렬로 바꿔 핀 RxD를 통하여 직렬로ATmega128에 입력시키는 입력용 병렬 I/O포트로 동작하고, 74HC164는 ATmegal28의 핀 TxD를 통하여 데이터를 직렬로 받아서 병렬로 출력하는 출력용 병렬 I/O포트로서 동작합니다. 이 경우 동기클록은 XCK을 통하여 공급됩니다.

'정보통신 및 로봇제어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ART의 개요  (0) 2021.07.18
외부 인터럽트  (0) 2021.07.16
인터럽트 우선순위  (0) 2021.07.14
인터럽트 발생 조건  (0) 2021.07.09
인터럽트 소스  (0) 2021.07.07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